
2024-05-31 11:52:33
❍ 공모부문
- 한국의 전통미와 우리도자의 아름다움을 계승하고 현대적 조형이 조화를 이루는 창작품
❍ 참가자격 : 국내 도자제작자
❍ 출품조건
- 신작 또는 국내·외 타 공모전 수상하지 않은 작품
※ 명시된 조건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수상작으로 선정된 뒤에도 수상을 취소하고 상금을 회수함
- 출품 수 : 1인 2점까지 *2점 출품 시 출품신청서 개별 작성
- 규모제한 : 가로, 세로 1m 이내
❍ 신청안내
- 신청기간: 2024. 6. 21.(금)~6. 30.(일), 10:00~11:30, 13:00~17:00
- 신청방법
① [서류신청] 신청서 내려받아 작성 후 메일(320@kocef.org) 제출
※ [서류신청]은 [실물제출] 3일 전 담당자 이메일로 제출해서 완료해야함
※ 이메일 제출 후 담당자에게 접수 여부를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② [실물제출] 제출품을 경기도자박물관에 직접 제출
* 제출품: 실물작품, 출품신청서, 작가이력 및 경력서, 개인정보 수집·이용 동의서,
미반출 작품 처분 동의서
※ 실물 제출 장소: 경기도자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 (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경충대로 727)
※ 출품료 없음
○ 일정
- 결과발표: 2024. 7. 10.(화) * 한국도자재단 홈페이지 및 개별통보
- 낙선작반출 : 2024. 7. 11.(수)~7. 21.(일)
- 전시기간: 2024. 9. 6.(금)~10. 20.(일) (경기도자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)
- 시 상 식: 2024. 9. 6.(금) 예정
○ 시상내용
구분 | 작품 수 | 상장 및 상금 |
대상 | 1점 | 상장 및 상금 2,000만원 |
금상 | 1점 | 상장 및 상금 1,000만원 |
은상 | 2점 | 상장 및 상금 각 500만원 |
동상 | 2점 | 상장 및 상금 각 300만원 |
입선 | 30점 내외 | 30점 내외(상장) |
* 대상, 금상, 은상, 동상 수상작품은 한국도자재단에 귀속되며, 입선작은 전시 뒤 반출
** 작품 2점을 제출한 경우 각각 따로 상을 받을 수 있음
*** 시상금은 세금을 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지급함
**** 공모전 전시와 도록 제작, 홍보 등을 위한 수상작품의 연출, 사진 및 영상촬영, 녹화·방영 등에 대한 저작권은 한국도자재단에 있음
○ 출품작품 안전 유의사항
- 출품을 위해 작품이 경기도자박물관에 도착하여 주최 측과 상호 확인한 이후부터 반출 시까지 작품에 대한 안전책임은 주최 측에 있음.
- 수상작품은 촬영 및 준비, 전시 기간 등 반출 시까지 보험에 가입하고 파손 시 작품의 처리는 주최 측과 보험사의 결정에 따름.
❍ 기타 유의사항
- 출품작 이외 접수된 모든 자료는 반환하지 않음.
- 심사 이후라도 작품에 대한 표절 시비 또는 작가에 대한 부적절한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
재심사하여 수상 또는 선정을 취소할 수 있음.
- 낙선작 및 입선작은 반출 통보일 후 30일 이내 찾아가지 않을 시 임의 처분할 수 있음
공모자격 및 범위 |
|
❍ 현재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도예가(potter)에 의한 제작 ❍ 한국 전통도자의 재료 및 기법에 의한 제작 ❍ 수공예적 방식에 의한 제작 및 수공예적 제작방식의 다변화된 활용 (물레성형, 핸드메이드, 케스팅 등) ❍ 전통도자의 재현 및 창조적 모방(전승도자 포함) ❍ 전통적 제작 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성을 더하여 현대적 변용을 시도한 작품 범 위 - 한국 전통도자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모든 작품 - 생활 속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청자, 백자, 분청, 옹기, 토기, 와당 등 전통도자 소재를 활용한 모든 전통생활도자 및 현대생활도자 (반상기, 전통다구, 테이블웨어, 커피다기, 화병, 한식, 양식기, 타일, 조명등, 장신구, 기타 소품 등) - 전통의 계승을 통한 관상용 도자(유물 재현 혹은 창조적 모방 작품), 창의적인 토우, 도자인형 등 한국적 정서를 표현한 전통조형도자 재료 및 기법 - 청자, 백자, 분청, 옹기 등 전통 소지와 제작 기법을 활용 - 장작·가스·전기 가마를 불문하고 전통소지와 유약의 발색에 적절한 방식 사용 미학적 측면 - 현대생활과 미감에 맞는 한국적 특수성을 강조한 도자 영역 - 한국도자의 고유성을 지니면서 현대도자에 있어 조형과 생활, 산업도자의 장점을 수용한 도자 영역 |